지난번에 서울시의 동물병원 지원제도를 설명해드렸는데 사실 코코는 용인시에 거주하고 있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용인시에서 동물관련해서 지원해 주고 있는 제도들을 알아보려고 해요. 코코 엄마인 저도 오늘 눈 크게뜨고 제가 놓치고 있는 게 있나 알아보려고요.
1. 용인특례시 동물보호센터
용인시에는 용인시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가 있어요. 이곳에서는 유실되거나 유기된 동물을 보호하고, 반려동물을 구조해서 공고를 통해 주인을 찾아주거나 새로운 가족에게 입양을 보내는 일을 하고 있어요. 입양하기 전 입양 상담 및 교육, 입양비 지원 등을 하면서 유기견의 입양을 위해 힘쓰고 있는 곳이랍니다. 용인시 동물보호센터에서 지원해 주고 있는 내용들을 알아볼게요.
2. 유실, 유기동물 입양비 지원
용인시 동물보호센터에서는 반려의 목적으로 유실되거나 유기된 개, 고양이를 입양하여 동물등록을 완료한 입양자에게 지원을 해주고 있어요. 지금은 개, 고양이 입양자만 지원해 주고 있고 다른 동물들의 입양 시 지원은 안된다고 하네요.
입양하고개월 이내에 진단비, 예방접종비, 치료비, 중성화 수술비, 내장형 동물등록비, 미용비를 60%를 지원해(최대 15만원까지) 준다고 해요. 처리비용이 25만 원 이상인 경우, 최대 15만 원을 지원해 주고, 처리비용이 25만 원 미만인 경우, 총 금액의 60%까지 지원해 준다고 해요. 입양 후 6개월 이내 신청 가능하고 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하기 때문에 예산이 소진되면 지원을 받을 수 없어요.
예를 들어서 유기된 강아지를 입양하고, 동물등록하고 3개월 정도 지났을 때 중성화 수술을 해서 50만 원의 비용이 들었다면 용인시 동물보호센터에 신청하면 15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거예요. 중성화 수술은 되어 있는 유기견을 입양했고 여러 치료를 해서 비용이 15만 원이 들었다면 15만원의 60%인 9만원을 지원받는 거죠.
유실, 유기견 입양은 동물보호관리시스템, 포인핸드 어플로 보호되고 잇는 동물을 확인하고 그중 입양하고자 하는 동물이 있다면 상담날짜를 예약하고 1차 방문하여 입양 설문지, 신청서를 작성해야 해요. 1차 신청으로 바로 입양되지 않고 입양 설문지를 토대로 가장 적합한 환경의 신청자를 확인하고 선정하게 돼요. 신청한 후 내가 선정이 되었다면 입양 확정이 되고 2차로 방문해서 입양 교육 후 입양 확인서, 동물등록신청서를 작성하게 돼요.
3. 농촌지역 실외 사육견 중성화수술비 지원
용인시 농촌지역의 실외에서 기르는 5개월령 이상의 혼종견 중 암컷을 우선해서 중성화 수술비를 지원해 주는 제도예요.. 용인시가 워낙 커서 농사를 짓는 지역도 있잖아요. 마당 있는 집이라 집 밖 마당에 기르는 개를 중성화 수술 시키고자 한다면 거주하고 있는 읍면사무소 산업팀에 신청하면 돼요.. 그러면 대상자를 선정해서 개별적으로 통보해 주고, 지정 동물병원에서 중성화 수술을 시킬 수 있어요, 이때 수수비의 10%만 주인이 부담하면 돼요. 수술비가 60만 원이 나옸다면 10%면 6만원만 주인이 내시면 되는 거예요. 물론 이때도 동물등록은 필수 이기 때문에 동물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면 동물등록 비용은 내고하셔야 해요. 코코 친할아버지도 용인시 거주하시는데 집 마당에 검순이라는 믹스견이 있는데 얼마전 이 지원비를 받아 중성화 수술을 했답니다.
4.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
용인시 동물보호센터에서는 용인시 내 2kg이상 길고양이를 대상으로 중성화 수술을 하는 사업이에요. 길고양이를 포획해서 중성화 수술을 시키고 2-3일 정도 보호하고 다시 제자리에 방사시켜준다고 해요.
오늘은 코코가 거주 하고 있는 용인시 동물보호센터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용인시 동물보호센터에서는 유실, 유기동물을 보호하고 입양을 확장할 수 있도록 입양비 지원도 해주고 있어요. 코코는 지인 가정에서 분양 받아 유기견은 아니지만 다음에 코코 동생을 입양한다면 유기견 입양도 생각하고 있어요. 우리 아가들 입양하시면 우리 가족이니까 절대 절대 버리지 마시고 꼭 끝까지 책임지셔야 해요.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옷 판매처 (1) | 2024.02.22 |
---|---|
이탈리안 그레이 하운드(아이쥐) 패딩 입는 이유와 구매시 유의사항, 구매경험 (0) | 2024.02.21 |
서울시 동물병원 진료비 지원사업 신청 기간 및 신청 방법 (0) | 2024.02.19 |
반려동물 등록제와 등록 방법, 지원금 (0) | 2024.02.15 |
반려견이 먹으면 안 되는 음식 (0) | 2024.02.14 |